반응형 도료/도료결함10 Checking 결함 Checking 결함 정의상도를 관통하지 않을 정도의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일부 균열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함 원인주로 도료의 배합 또는 규격의 문제로 발생도막의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응력이 발생하여 도막표면이 부서지기 쉬운형태로 되어 균열이 발생하기도 함 예방 및 대책적절하게 배합된 도료를 사용도막표면을 연마하고 청결하게 한 다음 적절한 하도와 상도도장 실시 2024. 9. 26. 쵸킹 결함(Chalking) 쵸킹 결함(Chalking) 정의도막표면이 가루 형태로 떨어져 나오는 현상이며 도막의 변색 혹은 광택감소가 나타남 원인도막의 대기중 폭로나 자외선 등에 의한 수지의 분해에 의해 발생안료이 함량, 수지의 종류에 따라 쵸킹 발생 속도가 달라짐 예방 및 대책쵸킹에 대해 저항성이 큰 도료(우레탄, 아크릴 등)으로 상도 도장연마, Blast cleaning으로 표면 가루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상도 도장 2024. 9. 25. 버블 결함(Bubbles) 버블 결함(Bubbles) 정의도막내의 기포가 작은 부풀음 형태로 도막 표면에 나타난 현상기포가 그대로 존재하거나 분화구 모양으로 터진형태로 존재Blister와는 다른 양상 원인도료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공기나 용제가 방출되지 못하고 도막내에 잔존하는 경우 발생지나치게 두꺼운 도막이나 Spray 혹은 Roller로 도장 한경우 발생할 수 있음 예방 및 대책Spray 도장의 경우, Airless spray 도장을 하거나 희석제로 도료의 점도를 낮춤도료혼합시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혼합 장치를 사용결함의 정도에 따라 결함부위를 연마하거나 제거한 다음 재도장 실시 2024. 9. 24. Brush marks 결함 Brush marks 결함 정의붓도장 후 도료의 유동성 감소로 인해 도막상에 나타난 물결모양 또는 주름 원인붓도장을 하기에 도료의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적절하지 않은 희석제를 사용하거나 가사시간이 지나서 도장한 경우도료의 혼합 또는 도장이 적절치 않은 경우 예방 및 대책붓도장 가능한 도료를 적절한 두께로 도장적당한 희석과 가사시간내에 도장결함 발생시에는 결함부위를 완전히 연마하고 적절한 점도를 지닌 도료로 재도장 2024. 9. 23. 유백화 결함(Bloom) 유백화 결함(Bloom) 정의도막이 유백색으로 뿌옇게 되는 현상.이로 인해 도막의 광택이 감소하거나 색상이 흐려짐 원인적절하지 않은 혼합용제를 사용하거나 도막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분에 노출되거나 응축이 일어날때 발생(아민 경화제 에폭시 도료에서 주로 발생) 예방 및 대책적절한 환경에서 도장 및 경화 실시유백화 현상이 나타난 부위를 깨끗한 천이나 적절한 용제로 제거필요시 도료제조자의 추천사항에 따라 하도와 상도를 재도장 2024. 9. 22. 블리스터 결함(Blistering) 블리스터 결함(Blistering) 정의국부적으로 하부와 부착소실이 발생하여 도막상에 Dome형태로 부풀음 현상이 나타나는 것 원인기름, 염, 녹, 수분, 잔류 용제, 용해성 안료 등에 의한 국부적인 부착소실로 인해 발생 방지적절한 표면처리와 도장을 할 것. 또한 적절한 도료를 사용할 것 보수Blistering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결함이 발생한 부위나 전체 도막을 제거하고 보수 혹은 재도장 실시 2024. 9. 2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