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리전이온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유리전이 온도란 고분자 물질이 온도에 의해 분자들이 활성을 가지며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점의 온도를 말합니다.
저분자 물질의 경우 일반적으로 열을 가하면 고체상에서 액체상으로 상변화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고분자의 경우는 이런 상변화를 거치기 전에 또다른 변화를 보이는 시점이 있는데 이 시점의 온도가 바로 유리전이 온도입니다.
보통 딱딱한 고분자는 유리전이온도에서 부드러운 고무처럼 변하게 되는데 고체에서 액체로 변화하기 전에 탄성을 가진 고무같은 변화를 갖게 됩니다. 또 유리전이 온도는 주사슬 원자의 형태나 곁사슬기의 형태 및 곁사슬기의 공간 변형에 의해서도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클수록 유리전이온도가 높으며,
유리전이온도를 측정은 주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TA(Diferrential thermal analysis)를 사용합니다.
반응형
'취업면접질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0) | 2024.08.13 |
---|---|
화학반응의 기본 법칙 (0) | 2024.08.11 |
열경화성수지와 열가소성수지의 차이 (0) | 2024.08.11 |
가교반응이란? (0) | 2024.08.11 |